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표본분산2

[통계학 공부] 5. 표본분산을 구할 때 n이 아닌 n-1로 나누는 이유 표본분산을 구할 때 n이 아닌 n-1로 나누는 이유를 3가지 방식을 통해서 알아볼 거에요. 6. Why Dividing by N Underestimates the Variance 6. Why Dividing by N Underestimates the Variance 1) 표본분산을 구할 때 n이 아닌 n-1로 나누는 이유 (자유도) $S^{2} = \frac{1}{n-1}\sum_{i = 1}^{n}(x_{i}-\overline{x})^{2}$ 표본분산은 n개의 편차를 사용하는 것같지만 '편차의 합 = 0'이라는 제약조건 때문에 n-1개의 편차 정보를 사용한다. $\sum_{i = 1}^{n}(x_{i}-\overline{x}) = 0$ : 편차의 합이 0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n-1 개의 편차가 정해지.. 2023. 5. 15.
[통계학 공부] 4. 평균, 분산, 표준편차 추정하기 평균, 분산, 표준편차 추정하기 저번시간에 모수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번 시간에는 모평균, 모분산, 모표준편차 추정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5. Estimating the Mean,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5. Estimating the Mean,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1) Estimating the Mean 1-1) 모평균 구하기 모든 측정값들의 평균을 직접 구하면 되지만 모집단을 모두 구하려면 시간과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모집단의 데이터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표본에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할 것이다. 1-2) 모평균 추정 표본에서 모평균을 추정하는 방법은 우리가 구한 측정값의 평균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때 추정 평균을 $.. 2023. 5.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