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모표준편차2 [통계학 공부] 4. 평균, 분산, 표준편차 추정하기 평균, 분산, 표준편차 추정하기 저번시간에 모수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번 시간에는 모평균, 모분산, 모표준편차 추정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5. Estimating the Mean,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5. Estimating the Mean,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1) Estimating the Mean 1-1) 모평균 구하기 모든 측정값들의 평균을 직접 구하면 되지만 모집단을 모두 구하려면 시간과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모집단의 데이터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표본에서 모집단의 평균을 추정할 것이다. 1-2) 모평균 추정 표본에서 모평균을 추정하는 방법은 우리가 구한 측정값의 평균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때 추정 평균을 $.. 2023. 5. 12. [통계학 공부] 3. 모수 쉽게 이해하기 모수 쉽게 이해하기 4. Population and Estimated Parameters, Clearly Explained 4. Population and Estimated Parameters, Clearly Explained Population parameter : 모수 5개의 간세포에서 유전자 x의 mRNA의 개수를 세었다고 해보자 가로축은 geneX에 대해 하나의 간세포가 가지고 있는 mRNA의 수를 의미한다. 즉, 첫번 째 녹색점은 geneX에 대해 3개의 mRNA를 갖는 하나의 간세포를 의미한다. → 3, 13, 19, 24, 29 한사람의 2400억 개의 간세포를 의미하는 2400억 개의 녹색 점이 있다고 하면 우리는 그 값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그릴 수 있다. 히스토그램은 대부분의 세포가 20.. 2023. 5. 1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